안티카
혐오를 이기는 광기ㅁ정신질환과 정신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편견에 대항하기 위한 당사자의 창작을 지원합니다. 정신질환 보유 당사자의 언어를 개발하고 대중을 향한 가장 효과적인 소통의 방법을 찾습니다. 연극, 미술, 문학, 팟캐스트, 유튜브 등 창작활동 지원과 매드프라이드 행사를 주최합니다.ㅁ
ㅁ
주요활동ㅁ1. 매드프라이드 서울 : 광기 하자
정신장애인 당사자와 시민이 함께하는 예술축제로 정신질환, 정신장애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고 당
사자 창작자가 결과물을 발표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하며, 시민들의 참여를 통해 사회적 편견을
감소시키고 병원과 약물 위주의 강압적 의료 권력과 혐오 위주의 미디어 환경에 대한 적극적 대안을
제시합니다.ㅁ
2. 당사자 창작 연극 발표
안티카는 2018년부터 2019년까지 <약 먹어도 괜찮아>, <하얀 방>, <거리로 나온 하얀 방>을 공연
해 왔습니다. 서울 뿐 만 아니라 서울 이외의 지역에서의 공연을 기획 중입니다. 지방의 정신병동을
찾아가 입원한 환자들과 가족들에게 안티카의 연극을 보여드리고자 합니다.ㅁ
3. 당사자 시각예술 및 출판정신장애인 당사자의 삶을 기록한 그림책과 정신장애인 당사자들의 목소리를 담은 구술사 인터뷰
집 <지금 우리는 여기에 있다: 정신장애인 당사자 인터뷰집> 출간 예정입니다.ㅁ
4. 유튜브 채널 : 춤추는 광기
안티카의 활동을 기록하고 정신장애인의 목소리를 직접 전하는 다큐멘터리를 제작 중이며, 유튜브
‘춤추는 광기’를 운영하고 있습니다.
https://www.youtube.com/channel/UC9c5ktwBWOSVZnHcdXrP35gㅁ
ㅁ
활동연혁ㅁ2018.02 단체설립
2018.02 안티카 창단 (15명의 정신장애인 단원과 1명의 활동가)
2018.05 오디오기록, 문학, 즉흥연극, 영상, 정극연극 수업 / 당사자 구술 역량 강화
2018.09 돌담길 라디오 공개방송 <마음일기 마음읽기> / 서울시민 인식개선 캠페인
2018.10 은평연극제 <약 먹어도 괜찮아> 공연 / 은평지역민 인식개선 캠페인, 팟캐스트 <안티카 프로젝트> 방송 / 당사자에 대한 인식 개선 캠페인
2018.11 연극 <하얀 방> 공연 / 당사자에 대한 인식개선 캠페인
2018.12 정신장애인 주거시설 한마음의 집 영상제작 / 당사자 창작자 양성
2019.01 정신보건 서비스 정상화 공동대책위원회 활동
2019.02 정신장애인에 대한 편견을 없애기 위한 파란모자 캠페인영상 제 작
2019.04 한국예술인복지재단 사업 선정 및 당사자 표현 언어 개발
2019.06 서울시 청년허브 입주
2019.07 당사자와 비당사자의 연대를 위한 ‘다름은 틀림이 아니다’ 포럼 진행
2018.10 매드프라이드 개최 / 당사자 네트워크 및 당사자에 대한 인식개선 캠페인
2019.11 공감페스티벌 ‘하얀 방’ 공연
2019.12 매드프라이드 평가회 및 송년회
2020.01 제2회 매드프라이드 조직위 모집 및 선발ㅁ
ㅁ
언론보도ㅁ• 특별한 만남 더욱 특별한 공연, 시사인 (링크)
• 정신장애인의 당당한 행진 ‘매드프라이드’, 광화문광장에서 열린다, 비마이너 (링크)
• 정신장애인들과 함께한 시민들 “매드프라이드, 변화의 시작 되어야”, 비마이너 (링크)
• [사진] 한국에 첫발 내디딘 마르코까발로, 제1회 매드프라이드 열리다!, 비마이너 (링크)
• 매드 프라이드, 우리들의 미친 세계, 경향신문 (링크)
• 정신건강, 누구나 누려야 할 기본권이자 건강권, 프레시안 (링크)
• “편견·차별 해소하라!”…거리로 나온 정신질환자, KBS (링크)
• “광장으로 나온 ‘매드 프라이드’, 정신장애인 차별 없애는 마중물 될 것”. 더나은 미래 (링크)
• [칼럼] 다양한 정신보건 ‘운동’을 환영하면서, 라포르시안 (링크)
• [매드 프라이드 성료] ‘우리를 가두지 말라’는 요청이 그렇게 받아들이기 어려웠나요?, 마인드포스트 (링크)ㅁ
키워드예술교육장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