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공모연구] 서류심사마감
안녕하세요. 청년일자리허브입니다.
<2014청년허브연구공모 – 청년, 자기 삶의 연구자가 되다> 서류접수를 마감합니다.
[이후 일정 공지]
– 서류심사 결과 발표 : 2014년 5월 16일(금) 오후6시 (홈페이지 발표)
*발표심사 일정 추후공지
[접수현황] 연구책임자명-연구주제명
아래 접수된 내용 확인하시고 이상 있으신 분들은 연락주시기 바랍니다.
책임연구자 | 연구주제 |
정순아 | 사회부적응 청년의 의식 분석과 멤버십 활성화 방안 |
한상규 | 신자유주의적 통치’로서 ‘삶의 채무-노동화’연구; 정부학자금대출과 대학(원)생의 경험을 중심으로 |
홍지은 | 청년 무중력 현상의 유형별 분석과 교육 현장에 도입 가능한 자기중력 툴킷 개발 |
김미정 | 청년 도시와 농촌 중간에서 삶을 찾다 |
최재영 | 청년과 문화예술의 삼박자-생산, 유통, 소비 |
김정인 | 청년활동백서_기관과 함께한 청년활동 사례 |
최윤현 | 청년들의 新결혼 문화 사례연구 |
이샘 | 에너지자립 이동식 주거지-peak oil 이후의 생존을 상상하다 |
신지연 | 잃어버린 청년의 시간을 찾아서 |
이영롱 | 성장’의 경험으로서의 청년 노동; 사회적 노동 섹터를 중심으로 |
이미루 | 청년예술가의 삶과 예술가 복지법 |
이일 | 현대 젊은이들의 생활공간, 복합 쇼핑몰의 현재 |
이현석 | 서울시 마을공동체 청년조직 동향과 활성화를 위한 대안 제시:외국 사례를 중심으로 |
김가연 | 한국사회의 갈등을 바라보는 청년의 시각과 그 역할 |
이동광 | 10년간 청년 지형도 파악 및 상관관계 파악을 위한 연구조사 |
안선영 | 대안 없는’ 청춘 담론, 대안을 찾다 |
이지희 | 사는 곳으로서의 ‘집’ |
문지훈 | 청년, 왜 카페(Cafe)에 가는가? |
이선비 | 통일시대를 대비하는 남북청년들의 움직임 |
장재열 | 청년의 자생적 진로 선택을 위한 영상 아카이브<괜찮아, 안 죽어.> |
장민지 | 국내 이주를 경험한 청년/여성들의 ‘집’의 장소화 과정 |
정영진 | 디자인을 통한 세대간 교류가치 재창출 방안 연구 |
정우성 | ICT, 소셜섹터가 묻고 청년이 답하다. |
고은초 | 청년, 자기 삶의 주체자로 지속가능하게 살기 |
강정석 | 이행기 청년이 걸어갈 길 : 유형과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|
서원 | 청년 주도의 사회적 권리 창출 활동과 현황 및 사회 기여도 연구 |
김수현 | 청년공동주거 만족도 조사 |
김현경 | 청년 예술가-창업자, 마을을 만들다 : 소자본 청년 예술가-창업자들과 마을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연구 |
이세라 | 일탐일탈, 새로운 일을 탐하는 청년들 |
이세연 | (낭만을+만나다)남만작전 |
한수정 | 청년, 동네를 기록하다. |
김윤희 | 대안적 공간으로서 ‘카페’의 활용 – 2,30대 청년 니트족의 로망과 딜레마 |
문영민 | 청년예술정책의 틈새 : 장애청년 예술정책 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 |
정상석 | 2014 대한민국 대학언론자유지수 조사 |
이안홍빈 | 시민사회단체 직업 활동가의 삶 |
주수정 | 갈등이 아닌 연대를 통한 세대 문제 해결 방안 |
이정주 | 청년문제에 대한 메타분석 연구_심리를 중심으로 |
우승현 | 청년의 눈으로 바라 본 청년 |
김동리 | 지역밀착형 청년활동 리서치 |
강상모 | 학벌과 스펙이 성공적인 커리어를 좌우하는가 |
김이안 | 사례기반 연구를 통해 본 청년 사회적 기업 현황 |
이서완 | 업사이클링 문화 확산을 위한 시스템 구축 방안 리서치 |
황주상 | 도시재생을 위한 도심 속 공원과 시민참여의 관계연구(‘경의선 숲길’을 중심으로) |
김수진 | 사회혁신현장을 누비는 청년 활동가 보고서 |
서종건 | 서울시 청년 1인 가구의 주거 경험에 대한 사례 연구 |
임영준 | 능동형(자기주도적) 청년들을 위한 작은 문화 생태계 구축 방안(가칭) |
신미숙 | 30대 문화기획자, 갈증해소 가이드북 |
조혜민 | 지역 산업 활성화를 위한 동대문디자인플라자(DDP) 역할 연 |
이상미 | 청년, 사회문제에 스스로 묻고 답하라: 재난방지 생존툴킷 활용 시나리오 |
이혜원 | 우리 동네 놀이터에서 만나는 소규모 창작가(청년)들의 플리마켓 |
설지혜 | 2014 청년정책사용설명서 |
김대식 | 청년 공약백서 제작을 위한 리서치 |
장선미 | ‘청년 지역에 가다’ ; 지역과의 새로운 관계맺기 방식 연구 |
이남희 | 청년 관계스트레스에 관한 보고서 |
최윤수 | 아픈 청년들, 인생의 빨간 불을 켜다 |
김영준 | 청년층 1인가구 주거문제 해결을 위한 현장 리서치 |
김양미 | Words of a generation, Korea |
박지호 | 갈등전환 패러다임으로 한국사회 들여다보기 |
김설하 | 시대를 여행하는 청년 문화예술인을 위한 안내서 |
김선기 | 청년세대담론의 세대화 효과 연구 |
지혜인 | 청년의 생활영역과 참정영역 괴리 원인 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|
윤이레 | 서울시 청년자살예방 정책연구 |
이정윤 | 자신만의 삶의 방식에 대한 탐구 |
이강희 | 원룸 관리비 실태조사 및 표준 관리비 기준표 작성 |
임지선 | 대학생, 대학을 말하다. |
이준상 | 청년예술가들의 자립방안을 위한 조사연구 및 인포그래픽/영상 제작 |
정지원 | 독립문화생산자들의 지속가능성은 가능한가 : 독립출판인들을 중심으로 |
이상현 | 청년부채의 문화사회학 |
고경만 | 우리가 알면 좋을 우리들의 무늬 |
장지영 | 청년들의 결혼, 자녀 출산에 대한 생각과 양육의지에 대한 이야기 (리서치포함) |
천다연 | 고립’이 만든 ‘사회적 죽음’에 대한 고찰 |
*책임연구자 이력서 및 연구진 소개서를 제출 안하신 분들은 5.13일 오후2시 이전까지contact@youthhub.kr 로 제출해 주시기 바랍니다.
제출이 안 된 경우 서류제출 미비로 자동탈락됩니다.
– 문의_기획연구팀 이수나 매니저 070-4432-6184 / suna@youthhub.kr