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16년 연구공모] 서류심사 결과 알림
서울시 청년허브가 2016년 연구공모사업의 서류심사 결과를 알려드립니다. 많은 청년당사자/연구자분들이 신청해주셨으나, 모두에게 연구의 기회를 드리지 못해 죄송합니다.
ㅇ 총 16개 팀이 서류심사를 통과했습니다. 다음 일정으로, 인터뷰 심사가 진행될 예정입니다.
ㅇ 인터뷰심사 일정
– 일시: 8월 4일(목) 오전 10시부터
– 장소: 청년허브 세미나실(불광역 2번출구, 미래청 1층)
ㅇ 인터뷰심사 방식
– 2~3개팀이 심사위원 5인과 함께 서로 문답하는 그룹 인터뷰의 형태로 진행됩니다.
– 개인연구자는 1인, 팀(단체)은 1~2인이 인터뷰심사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.
ㅇ 인터뷰 심사 대상 16개팀 현황과 인터뷰심사 시간은 다음과 같습니다.
순번 | 연구주제 | 연구분야 | 책임연구자 | 단체명 | 8/4(목) 면접시간 |
1 | 청년 주거지로서 1세대 아파트의 가능성 탐색 | 주거 | 이다솔 | – | 10:15~11:00 |
2 | 신문 아카이브를 통해 본 청년 주거사 : 1970년대-2016년까지 주택 정책의 흐름을 중심으로 | 주거 | 마민지 | – | |
3 | 서울, 수도권에서 활동하는 청년예술가들의 주거환경현황과 그에 따른 문제점 해결을 위한 대안 주거와 작업실 모델연구 | 주거, 문화 | 백지연 | – | |
4 | 청년 여가정책 제언을 위한 연구: 청년여가에 있어 공간의 의미 | 문화 | 이수현 | – | 11:15~12:00 |
5 | 대형 복합상업시설과의 결합을 통한 청년문화공간의 지속성, 다양성 확보 | 사회참여 | 김예람 | 온더무브 | |
6 | 청년창작자와 도시형장터, 플리마켓의 상관관계 | 사회참여 | 박주연 | 마켓히어로 | |
7 | 청년, 어떻게 서울을 떠났나 | 기타 | 박소영 | – | 13:00~13:45 |
8 | 기본생계비 보장으로 변화한 청년의 삶에 대한 연구: 서울시 청년수당, 삼선재단 농촌청년인턴십 사업 등 청년지원 사례를 중심으로 | 생활안정 | 송하진 | – | |
9 | 결혼하지 않는 가족 – 이삼십대 비혼 청년문화를 중심으로 | 생활안정 | 황윤지 | 혼다나 | |
10 | 서울권 대학 내 호모소셜리티와 여성혐오 실태 연구 | 기타(여성) | 정서인 | – | 14:00~14:45 |
11 | 나는 여성인가, 장애인인가, 청년인가: 여성장애청년의 정체성에 관한 연구 | 기타 | 홍서윤 | 장애인여행문화연구소 | |
12 | 청년세대 담론의 젠더화를 통해 바라본 성소수자 청년의 삶 바라보기 | 생활안정 | 강동희 | – | |
13 | 국가장학금 등급분류 체계에 대한 수혜/비수혜 당사자 인식 연구 | 교육 | 한선영 | – | 15:00~15:45 |
14 | 학자금대출이 있는 청년 채무자들의 삶의 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적 대안에 관한 조사연구 | 기타 | 남궁정 | – | |
15 | 청년, 시를 쓰다: 텍스트 마이닝으로 분석한 2010년대 청년 시인의 낱말과 한국 사회 | 문화 | 양수영 | – | 16:00~16:45 |
16 | 청년 교육가들의 교육문제에 대한 참여 동기 및 지속가능성 연구 : 비영리교육단체 중심으로 | 일자리/노동 | 홍석호 | 꿈지락네트워크 |
ㅇ 문의: 청년허브 연구홍보팀장 최창민 070-4432-6179 / ccmin324@youthhub.kr